Vmware Fusion에 올린 우분투로 젠킨스를 공부하고 있었는데, 불편한 점들이 많아 도커 상에서 젠킨스 환경을 구축해 보려고 한다.
도커 파일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볼륨 사용에 제한이 있어 도커 컴포즈를 사용하기로 했다.
작성한 yaml
파일은 다음과 같다.
version: "3"
services:
jenkins:
image: jenkins/jenkins:2.440.1-lts-jdk17
ports:
- "8080:8080"
volumes:
- ./var/jenkins_home:/var/jenkins_home
사용할 버전은 2.440.1-lts-jdk17 버전으로, 8080 포트를 사용할 것이고, 로컬 상의 var
폴더 내부에 jenkins_home
폴더를 젠킨스의 jenkins_home
의 볼륨으로 설정했다.
docker-compose up -d
를 통해 실행하고 localhost:8080
으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적혀 있는 것처럼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에 적힌 초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간다.
Install suggested plugins
를 눌러 기본 플러그인들을 설치하자. (설치에 실패한 플러그인이 있다면 Retry를 눌러서 될 때까지 하면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위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적절히 입력하고 Save and Continue
를 누르자.
언어 설정 변경
기본 언어 설정이 한글로 되어 있다면, 대시보드의 좌측 사이드바에서 Jenkins 관리 -> Plugins -> Available plugins
를 들어간 후 locale
을 검색하고 설치한다.
설치가 다 됐으면 대시보드 -> Jenkins 관리 -> System
의 중간 쯤에 Locale
섹션에서 Default Language
에 en
을 입력하자.
여기까지 도커 컴포즈를 사용한 젠킨스 설치를 마쳤다.
'DevOps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ubuntu에서 아파치 톰캣에 Jenkins 설치하기 (1) | 2024.02.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