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를 통한 LLM의 행동 유도
·
Study/MCP
MCP는 보통 LLM과 외부 시스템을 연동하는 역할로 알려져 있다.(노션 MCP, Supabase MCP, …) 그런데, 외부 시스템과는 관계 없이 LLM의 행동을 제어하거나 유도하는 용도로 활동되기도 한다.(Sequential Thinking MCP, Meta Reasoning MCP, …) 예를 들어, 프롬프트 조작이나 메타 지시어 삽입을 통해 LLM의 응답 구조를 고정하거나,특정 작업 순서를 따르도록 강제하는 등의 방식이다. 이 경우 MCP는 단순한 인터페이스 계층을 넘어,LLM의 “행동 정책(controller)” 또는 “프롬프트 운영 계층”으로 작동할 수 있다.LLM-MCP FlowLLM이 MCP 서버에 tool/list 요청을 보내면, MCP 서버가 사용 가능한 도구 목록을 반환한다. (nam..
MCP란?
·
Study/MCP
회사에서 MCP를 사용한 큰 시스템 구축에 참여할 것 같아서,같이 작업을 하게 될 한 분과 같이 우선 MCP 스터디를 만들어서 진행해 보기로 했다. 막상 시작하려니 뭘 할까.. 하다가 우선 뭐라도 만들어보기로 했다.뭐라도 만들어 보려니, MCP의 동작 원리에 대해 이론적으로 아는 게 없어서 주제도 못 정하는 상황.그래서 우선 MCP에 대해 이론적인 부분부터 공부해 보려고 한다.MCP 정의MCP: Model Context Protocol: 2024년 11월 Anthropic이 발표LLM 기반 AI 애플리케이션과 외부와의 통합을 표준화 하는 프로토콜AI와 외부 데이터 간의 USB-C 포트 역할 담당JSON-RPC 2.0 기반MCP 구성 요소Host: Claude Desktop, Cursor IDE, Clau..